희망과 행복의 샘 Spring of Hope & Happiness
유기열의 씨알여행 156-까마귀베개나무..세상에 가장 작은 무지개 베개 본문
Fruits of Rhamnella frangulioides(maxim.) Weberb. are colourful
due to the various colour depending on the maturity extense.
It is not certain a carrion crow sleeps laying her head on the these fruits.
But this plant was named because of an imagination
a carrion crow use this fruit as her pillow.
새들은 잠을 어떻게 잘까? 두루미는 한 발을 깃털 속에 오그려 넣고 한 발로 서서 잔다. 온도 발산을 줄여 체온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피곤하면 앉아서 자기도 한다. 보통 새들은 둥지나 나뭇가지에 앉아 깃털을 최대한 세우며 목을 들여 넣어 공 모양을 하고 잔다. 역시 온기를 보존하기 위해서다.
까마귀밥나무 열매를 직접보고서는 그럴 가능성이 적다는 생각이 들었다. 열매가 다 커 바야 길이 1cm, 지름 7㎜도 안 되어 까마귀가 베고 자기엔 너무 작기 때문이다. 아마 참새가 베고 잔다면 그냥 그럴 수 있다는 생각은 든다.
천천히 자세히 보고 있노라면 작고 앙증맞은 새들의 베개가 자꾸 상상된다. 그것도 녹색, 노랑, 검정, 빨강, 주황, 연한 흑청, 그늘 속에서 보면 어두운 파랑 등의 색색의 열매가 다 있어 마치 무지개 열매를 보는 듯하다. 열매보다는 씨를 보면 가운데가 약간 들어간 모습이 옛날 베고 자던 목침(나무베개)같다.
열매는 아래가 위보다 약간 굵은 긴원기둥 타원형이다. 위 끝에는 짧고 가는 침이 1개 있다. 이것은 익으면 대부분 떨어지고 그 자리는 곤충바늘 크기의 점이 있다. 익으면 열매 가운데가 약간 들어가 잘록하기도 하다. 크기는 길이 8~10㎜, 지름 5.5~6.5㎜다. 녹색이나 노란 색일 때는 지름(굵기)이 작아 길게 보이나 검게 익으면 굵어져 통통하다. 색이 변할 수록 커지는데 길이는 초기와 크게 변하지 않고 굵기가 갑자기 커진다. 색은 녹색(초록)→노랑→주황→적자색→빨강→흑청→검정으로 변한다. 이런 색색의 열매가 한창일 때는 동시에 달려 멋스럽다. 긴 가지에 달린 열매의 모습은 마치 빨래 줄에 참새가 앉아 있는 듯하다. 광택이 약간 있다. 겉은 매끄러운 편이다. 색에 관계없이 물에 다 가라앉는다. 맛은 약간 단 맛이 나며 생콩 비린내가 다소 난다. 배고플 때는 먹어도 되지만 살이 너무 적어 과일로는 맞지 않다. 허나 새들은 좋아한다.
꽃받침은 얼핏 보면 원형 같으나 자세히 보면 5각형이다. 1개 가지에는 수십 개의 열매가 하늘을 보고 얼굴을 들고 있다. 바람 부는 날이면 흔들리는 잎 새를 보라. 무지개 색깔의 열매가 얼굴을 내밀고 아침 햇살에 빛나는 모습이 참 귀엽고 살갑기 그지없다. 열매는 익어도 껍질이 벌어지지 않는다. 익지 않은 열매는 단단하여 손톱으로 쪼개면 껍질이 쪼개진다. 그러나 검게 익으면 말랑말랑해진다. 익은 열매를 누르면 껍질이 찢어지기보다 열매자루가 붙은 아래 부분이 터지며 노란 즙과 함께 씨가 나온다. 껍질 두께는 0.05㎜며 부드럽다. 열매에는 1개 씨가 들어 있다. 열매살은 아주 적고 열매가 어느 정도 마르면 열매살은 재리처럼 아주 끈적인다.
크기는 길이 6.5~7.5㎜, 지름 3~4㎜다. 광택은 없고 겉은 매끄럽지 않다. 물에 가라앉으나 검게 익지 않은 열매의 씨는 뜨는 것도 있다. 씨는 무척 단단하다. 씨껍질은 두께가 0.4~0.5㎜며 딱딱하다. 알갱이는 누런빛이 도는 흰색이다. 배유 안에 자루가 짧은 탁구채 모양의 초록색 배가 들어 있다. 배는 열매자루 쪽인 씨 아래에 탁구채 자루 모양이 위치하고 떡잎 부위가 위쪽에 위치한다. 배의 크기는 길이 4.5~5.5㎜, 너비 1.9~2.1㎜, 두께 1.4~1.6㎜다. 자루부분은 길이 1㎜정도다. 배(embryo)는 하나로 보이지만 조심스럽게 눌러보니 떡잎은 아주 정확하게 2장으로 갈라졌다. 그 모습은 씨가 발아하여 땅위로 올라온 새싹의 떡잎과 100% 똑같다. 보고, 만지고, 느끼고, 먹어보고도 잘 모르는 게 씨의 세계다. 하긴 다 알면 안 되는 거지. 다 알면 신비함이 없어지고, 신비함이 없어지는 순간 씨는 더 이상 우리의 관심을 끌지 못한다. 허나 영원히 다 아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평생 씨를 벗 삼아 살면서 삶을 지루해 하지 않는 사람이 있는 게다. -------------------------------------------------------------------------- [유기열 박사 프로필] | |||||||||||||||||||||||||||||||||
|
'스크랩(씨알여행 글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열의 씨알여행 158 병꽃나무-잘못 알려진 씨의 날개, 나팔꽃나무가 더 어울려 (0) | 2012.10.09 |
---|---|
유기열의 씨알여행 157-선괴불주머니, 이름은 몰라도 좋아, 노란 새를 보는 기분이면 세상은 그대들의 것 (0) | 2012.09.25 |
유기열의 씨알여행 155- 명아주..80세에 임금이 내리는 조장(朝杖)은 장수의 상징 (0) | 2012.08.28 |
유기열의 씨알여행 154- 함박꽃나무...새색시 볼에 찍은 "연지 같은 씨" (0) | 2012.08.14 |
유기열의 씨알여행 153-가는장구채. 서울이 고향인 씨앗 (0) | 201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