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베트남 (93)
희망과 행복의 샘 Spring of Hope & Happiness

하노이는 지칠 줄 모르고 발전하고 있다. 아파트 역시 그렇다. 20층 이상의 고층아파트가 숲을 이루고, 시설 또한 잘 되어 있다. 하노이 동부 Gia Lam구의 Vinhomes Ocean Park1의 아파트는 지하주차장, 운동시설, 공원 같은 조경, 수영장, 상가 등의 편의시설, 학교 등을 두루 갖추고 있다. 이런 것들은 대부분 한국과 비슷하나 한국과 다른 몇 가지 특별함이 있다. ●아무나 엘리베이터 타고 올라갈 수 없어 한국 아파트 엘리베이터는 누구나 안에 들어가 가고자 하는 층 숫자를 누르고 올라갈 수 있다. 그러나 하노이 Vinhomes Ocean Park1의 아파트는 엘리베이터 안에 들어가 위로 올라가려면 반드시 아파트 거주민 카드가 있어야 한다. 인식기에 거주민 카드를 대지 않고 올라가고자 하는..

qrcode_yukiyull.tistory.com 2022년7월8일자로 내가 쓴『내 멋대로 동남아여행』책이 출간되어 서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다. 책은 배낭 하나 메고 혼자 동남아를 여행한 이야기다. As of July 8, 2022, the book 『Travel to Southeast Asia as I like』 was published and has been sold in bookstores. The book is the story of a trip to Southeast Asia alone with a backpack. 동남아에 여행 가도 괜찮을까? ‘괜찮다. 두려워하거나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 두려움, 불안함 등은 현지에 가서 보니 다 허깨비더라. 가보고 싶은가? 그럼 그냥 떠나라. 가서 보면 ..

벤자민고무나무 꽃은 동그랗게 안으로 말린 꽃차례에 수백 개가 빼곡하게 들어 있어 그냥은 보기 어렵다. 콩알 같은 꽃차례를 잘라야 꽃을 볼 수 있다. 콩알 모양의 녹색 꽃차례는 꽃이 수정되어 익어 감에 따라 노랑이나 오렌지로 변하고 더 익으면 붉거나 검붉은 색이 되고 완전히 익으면 검거나 짙은 흑갈색이 된다. 잘 익은 콩알 모양의 꽃차례를 자르면 수백 개의 열매를 볼 수 있다. 열매는 아래쪽이 좁게 삐져나온 좁쌀 같고 길이1~2mm다. 얇디얇은 미농지(美濃紙) 같은 껍질에 싸여있다. 씨는 동그랗고 지름은 1mm이하다. ▴꽃: 벤자민고무나무는 암수한그루(Monoecious)며, 분명 꽃이 핀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벤자민고무나무는 꽃이 없다거나 보지 못했다고 한다. 사실 벤자민고무나무에서 꽃을 보려고 ..

벤자민고무나무는 생육환경에 따라 외모가 천지만큼 다르다. 화분에 심어 기르는 관상용은 1~2m의 작은 나무로 기근(氣根)이 거의 없지만 노지에서는 10~30m의 노거수(老巨樹)로 자라며 수백수천 개의 길 다란 기근(Aerial root)이 치렁치렁 매달려있다. 외관만 보면 같은 식물 종이라고 믿을 수 없을 만큼 전혀 딴 식물 같다. 벤자민고무나무는 뽕나무과(Moraceae)의 열대상록수로 학명은 Ficus benjamina, 영명은 weeping fig, benjamin fig, Ficus tree다. 태국 방콕시나무(市木)로 알려져 있다. 공식적인 한글명은 없으나 벤자민고무나무로 널리 불러지고 있다. ▴형태와 몸통: 벤자민고무나무는 한국에서는 화분에 심어 실내에서 관상용으로 주로 키운다. 하지만 열대지..

대부분의 열매는 씨를 빼내고 먹는다. 그러나 용과(龍果)는 씨랑 함께 먹어야 제맛이다. 씨랑 먹어도 이질감이나 불편함이 전혀 없으며 오히려 맛이 더 좋고 몸에 이롭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백 개의 깨알 같은 작은 씨가 열매살(果肉) 전체에 골고루 박혀 있어 씨를 빼내고 먹기가 물리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용과는 선인장과(Cactaceae, 仙人掌科)의 덩굴성 다육식물이다. 학명은 Selenicereus undatus, 영명은 Dragon Fruit, Pitaya, Pitahaya이며, 베트남명은 thanh long이다. 속명 Selenicereus는 달을 뜻하는 그리스어 selene에서, 종명 undatus는 등골의 물결모양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속명은 예전엔 삼각주선인장속 Hylocereus였..

나뭇잎은 거의가 녹색이다. 그런데 흰잎세이지 잎은 하얗다. 하여 그 사이를 걸으면 안개 속을 걷는 기분이 든다. 꽃은 빨갛고 열매는 익으면 벌어진다. 씨는 작아 티끌 같다. 흰잎세이지는 현삼과(Scrophulariaceae,玄蔘科) 식물로 학명은 Leucophyllum frutescens이며 동의어로 Terania frutescene가 있다. 속명은 흰 잎을 뜻하는 라틴어, 종명은 관목 같다(shrub-like)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영명은 (Texas) barometer bush, purple sage, wild lilac, (Texas) silver-leaf, Texas ranger (sage), cenizo, ash bush 등이 있다. 영명에 Texas가 유난히 많이 붙은 것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