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아프리카 (8)
희망과 행복의 샘 Spring of Hope & Happiness
● 2024.01.09일자로 책『열대식물 엿보기-식용』을 발간한 데 이어2024.02.14일자로 책『열대식물 엿보기-비식용』을 출간했다. 교보문고 책 소개: 열대식물 엿보기-비식용 | 유기열 - 교보문고 (kyobobook.co.kr) ● 내가 왜 식물에 관심을 가지는가? 열대식물에 대한 책을 2권 출간한 것을 보고, 왜 그렇게 식물에 대하여 관심이 많으냐 고 몇 분이 물었다. 그 물음에 대한 답은 이렇다. 첫째, 식물이 없으면 인류는 물론이고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는 생명체는 살 수 없다. 먹거리가 없고, 산소는 부족하고 탄산가스가 과다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길가에 밟히면서 자라는 한 포기 풀에도 눈을 마주하며 고마움을 잊지 않는다. 둘째, 나는 천성적으로 숲을 좋아하며 생이 끝난 뒤에도 숲..
식물이 없으면 인류는 생존할 수 없다. 풀과 나무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다. 열대식물엔 겨울눈과 단풍이 없고 향기와 꿀이 적다. 대신 꽃이 화려하고 색이 선명하다. 열대나무는 한 몸으로 동시에 사랑하고 잉태하고 생산한다. 사물에 대한 관심과 고마움은 인간이 추구하는 일을 성취하는 데 큰 힘이 된다. 책 『열대식물 엿보기-식용』 역시 열대식물에 대한 관심과 고마움이 낳은 산물이라고 본다. 아프리카와 동남아에서 4년9월을 살면서 직접 관찰하고 조사한 20종의 식용 열대식물에 대해 사진을 곁들여 쉽게 설명했기에 열대식물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욱이 책을 읽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열대식물의 환경 적응력과 생존전략에 놀라고 공감하면서 생존을 위한 지혜를 터득할 수도 있다. 걸핏하면 ..
2014년8월5일 아프리카 짐바브웨에서 빅토리아폭포 다리를 걸어서 잠비아로 넘어갈 때였다. 나는 대낮에 다리 입구 인근의 도로 한 복판에서 성교(性交)하는 원숭이를 보았다. 만약에 사람이 그랬다면 해외 토픽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허나 아무도 원숭이를 욕하고 손가락질 하지 않았다. 오히려 사람들은 신기한 듯 바라보며 웃고 즐거워했다. 왜 사람은 그런 원숭이를 욕하고 손가락질 하지 않을까? 이유는 원숭이는 사람과 달리 이성이나 양심이 없는 짐승이기 때문이다. 동물은 부끄러움 자체를 모르고, 부끄러워할 줄도 모른다. 그저 생존하기 위하여 본능대로 행동할 뿐이다. 그러나 사람은 달라야 한다. 부끄러움을 알고 부끄럽지 않게 살아야 한다. 헌데 요즘 한국에는 이성과 양심을 헌신짝처럼 내팽개치고 염치(廉恥) 없이 사..
"눈에 밟혀 그곳에 다시 가고 싶다" 책을 발간했다. 아프리카 7개국과 터키를 나 혼자 배낭 여행한 이야기다. It was published the book titled "Coming up to the eyes, I want to go there again". It is a story of me backpacking to seven African countries and Turkey alone. "눈에 밟혀 그곳에 다시 가고 싶다" 책 표지와 그 안에 실린 일부 사진들 인공(人工)의 가면을 쓰지 않은 대자연과 야생을 즐기고 싶으면 아프리카를 여행하라. 사자와 눈 맞추고 은하수를 천정 삼아 인생을 이야기 하면서 대자연의 신비에 감탄할 수 있다. 과학기술문명이 발달하고 세상이 현대화 되면서 원래의 자연이 우..
Baobab is a symbol of the African tree. Although not officially designated, many countries in Africa have thought so. There is not yet it in Rwanda. But Rwandans really like baobabs. Symbolism of What baobab has is very large in terms of Africa(trees). Therefore, if the African continent tree would be designated, the baobab is second to none. So most African countries without b..
Worried were the family and friends of Korea. I got several telephone or e-mail " News accordingly here, Ebola epidemic seemes to be a serious one. Are you all right?" Not only I just but also volunteers and Korean residents here would be almost the same situation. Answer is "Rwanda is still safe" at one word. Ebola virus infections did not occur in Rwanda until now. There 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