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르완다 (36)
희망과 행복의 샘 Spring of Hope & Happiness

파파야는 꾀돌이다, 풀과 나무 양쪽에서 생존에 유리한 특성을 골라 가져 더러는 풀처럼 더러는 나무처럼 산다. 단성화로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는가 하면 암수술이 같이 있는 양성화도 있어 최악의 환경에서도 맛난 열매를 많이 맺는다. 열매에는 수백 개의 씨가 젤 같은 물질로 싸여 있다. 지혜로운 생존전략으로 대를 잇는 데 전혀 빈틈이 없어 감탄스럽다. ▴파파야는 풀인가 나무인가? 파파야는 완전한 풀도, 완전한 나무도 아니다. 풀 입장에서 보면 나무의 특성을 가진 특수한 풀이고, 나무의 입장에서 보면 풀의 특성을 가진 특별한 나무다. 한 해가 지나도 지상부가 살아 있고, 수년간 오래 살 수 있으며 줄기가 나무처럼 굵고 단단하며 높이 자라는 점은 나무의 특성이다. 그런가 하면 줄기 속이 비어 있고, 부름켜(형성층..

파파야는 가지가 거의 없는 외줄기 열대식물이다. 줄기 겉은 잎과 열매가 달렸다 떨어진 흉터자국(葉痕)으로 덮여 있다. 잎은 줄기 위 끝(上端)에 나선형으로 달린다. 잎은 7~9개로 갈라진 손바닥모양이며 잎자루가 가지처럼 굵고 길다. 열매는 맛도 괜찮고 향이 환상적이어 디저트로 인기 만점이다. 열매에서 바로 꺼낸 씨는 개구리 알을 보는 듯하다. 파파야는 파파야과(Caricaceae)의 열대상록식물이다. 학명은 Carica papaya, 영명은 papaya, 베트남명은 đu đủ 다. 베트남에서 파파야는 kg당 20,000동(1,000원, 2017년 시장가격 기준)이었다. ▴형태: 파파야는 가지가 거의 없는 외줄기 열대상록식물이다. 잎이 줄기 상단에 나서 자루가 긴 우산 모양을 한다. 키(높이)는 대체로 3..

구아바는 열매는 물론 잎, 뿌리, 줄기와 가지 모두가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된다. 구아바 열매를 먹을 때 껍질을 깎지도 않고, 씨도 빼내지 않은 채 열매살과 같이 먹는다. 껍질은 열매살과 한 몸이 되어 있고, 씨에는 약효성분이 많이 들어있고 먹기에 그다지 불편하지 않기 때문이다. 구아바는 도금양과(Myrtaceae) 식물로 학명 Psidium guajava, 영명은 guava다. 한글명은 공식적이지는 앉지만 일반적으로 구아바로 불리어지고 있으며 고착화 되었다. ▴형태와 잎 등: 구아바는 열대상록활엽수로 소교목(Small tree)이나 관목(Shrub)이다. 내가 본 가장 큰 나무는 높이 약7~10m다. 오래된 나무의 몸통은 흰색에 가까운 얇은 종이 같은 껍질로 싸여 있어 희다. 몸통을 싸고 있는 껍질은 ..

아프리카 르완다에서 한국의 무·배추·시금치·상추·갓 재배에 성공했다. 수량과 품질 모두 만족스러웠다. 현지인은 물론 언론도 큰 관심을 가졌다. 한국채소업계(종자업계)가 르완다 진출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붙임을 참고하면 된다. The New Times(12th Aug. 2015)Rwanda soils suitable for Korean vegetables.pdf 르완다에서 무·배추·갓·상추.시금치·당근 등 한국 채소 생산 성공·(농경과 원예 2021-3).pdf

나는 부추를 실내에서 물로만 키워 보았다. 그랬더니 1년10월을 살았다. 정말 생명력이 대단했다. 그리고 흥미롭게도 부추는 아프리카 르완다에서는 한국 노지재배처럼 매년 혹 모양의 굵은 땅속줄기를 생성하지 않았다. 이는 겨울을 나는데 필요한 양분을 저장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부추는 여러해살이식물로 학명은 Allium tuberosum, 영명은 garlic chives, Chinese chives, Oriental garlic, Asian Chives, Chinese leek, 한국명은 솔, 정구지(精久持), 월담초(越牆草), 파벽초(破壁草), 파옥초(破屋草), 기양초(起陽草) 구근(韭根), 구(韭), 구채(韭菜), 비(菲), 편채자(扁菜子), 구채자(韭采子), 난총(蘭葱), 구자(韭子)등 이..

천사나팔꽃은 아름답고 향기까지 좋다. 게다가 씨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한국 사찰에서 즐겨 기른다. 천사나팔꽃 씨가 궁금하여 노지생육을 하는 열대에서 5년여 생활하면서 찾으려 애썼지만 허사였다. 그런 열매와 씨를 한국에서 찾았다. 정말 기뻤다. 열매는 도톰한 긴 타원형이며 씨는 한쪽 끝이 뾰족한 다이아몬드형의 코르크 파편 같다. 가벼워 물에 뜬다. 코르크 같은 물질을 제거하면 둥글고 도톰한 알맹이가 나온다. 이건 신기하게도 물에 가라앉는다. 살아 있다는 증거다. 천사나팔꽃(Angel’s Trumpets)은 가지과(Solanoideae)의 독말풀속(Brugmansia genus) 7종(species)식물 전체를 일컫는 말로 꽃모양이 긴 나팔 같고 아름다워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중 Brugmansia sua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