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과 행복의 샘 Spring of Hope & Happiness

물 속에서도 살며 땅위로 뿌리 뻗는 낙우송, 생명의 소중함 일깨워줘 본문

일상의 감상

물 속에서도 살며 땅위로 뿌리 뻗는 낙우송, 생명의 소중함 일깨워줘

futureopener 2010. 6. 28. 10:47
반응형
SMALL

 

 

         <땅위로 뻗어 자라는 낙우송 뿌리>

생명보다 더 아름답고 소중한 건 없다. 세상을 다 준다 해도 바꾸지 않는 게 목숨이다. 그러나 현실은 전혀 딴판이다. 전직 대통령은 물론 사회지도층 인사, 유명 연예인에서 막 노동자에 이르기까지 신분과 지위를 가리지 않고 자살을 한다.

보건복지부는 올 봄에 2008년 우리나라는 하루 평균 35명이 자살하여 OECD 30개 회원국 중 자살률 1위라고 발표했다. 이런 자살률은 IMF 이후 빠른 증가추세다. 10위 안팎 경제대국치고 부끄러운 일이다.

오죽 살기 어려우면 자살할까 하고 때론 자살자에게 연민의 정도 느낀다. 그러나 아무리 고쳐 생각해도 자살은 옳지 않다. 낙우송의 뿌리를 보면 더욱 그렇다.

낙우송(落羽松, Taxodium distichum)은 물속에서도 사는 몇 안 되는 나무 중 하나다. 바늘잎나무(針葉樹)지만 가을이 되면 붉게 물들어 낙엽이 진다. 낙엽은 깃털처럼 아름답고 멋지다. 수형(樹形)도 크리스마스트리 같아 호감이 가고 어디서나 잘 자라 조경수로도 좋다.

일반적으로 나무의 뿌리는 햇빛과 반대방향인 땅속으로 뻗는다. 이게 자연의 이치고 순리다. 그런데 낙우송은 땅 속으로 뿌리를 내리지만 땅위로도 뿌리를 내어 자란다. 이유는 오직 하나 살아남기 위해서다.

나무도 호흡을 한다. 산소를 얻기 위해서다. 여름철에는 주로 잎을 통해서 하지만 잎이 다 떨어진 늦가을부터 새잎이 나기 전 이른 봄까지는 줄기와 뿌리로 호흡을 한다. 그런데 물속에는 대기 중 보다 산소가 적고, 물밑 흙 속에는 더더욱 산소가 적다. 이러다보니 나무가 물 속에서 살기 위해서는 뿌리를 물위나 땅위로 뻗어 올리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은 나무의 입장에서 보면 불가능에 가까운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나무가 물 속에서 살지 못한다.

세상에는 항상 예외가 있다. 낙우송과 맹그로브라는 나무가 그렇다. 맹그로브는 열대의 바다에 사는 나무인데 바닷물 위로 뿌리가 올라와 있다. 낙우송은 물 위는 아니지만 땅 위로 뿌리를 뻗는다. 맹그로브와 낙우송이 이런 기이한 생육을 하는 것은 물속 뿌리호흡으로 부족한 산소를 얻어 살아가기 위함이다. 이는 사는 것이 신의 섭리를 어기는 것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인간은 자칭 만물의 영장이라며 교만해 한다. 그러나 지구상에서 살아온 기간을 보아도 식물이 인간보다 몇 만 배 길다. 뿐만 아니라 식물이 숱한 환경의 변화를 겪으면서 지금까지 살아남아 온 것을 보면 인간이 식물보다 낫다고 큰소리칠 것도 못된다. 매년 때가 되면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서 종족을 보존해가는 풀과 나무가 생명사랑 측면에서는 한 수 위다.

살면서 한 번쯤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을지 모른다. 혹여 살기 힘들어 자살을 하려는 사람이 있으면 자살하기 전에 한 번이라도 낙우송 뿌리를 보기 바란다. 살기 위하여 자연의 섭리마저 거스르면서까지 하늘을 향해 꿋꿋이 자라는 뿌리를 보면 생각이 바뀔지 모르기 때문이다.

가까운 산과 들로 나가 풀과 나무를 가까이 하기에 더 없이 좋은 계절이다. 지천에 들꽃들이 저마다 자태를 뽐내고 숲에는 수많은 생명들이 연주하는 오케스트라가 은은하기도 하고 장엄하기도 하다. 짬을 내어 들과 산으로 나가 풀과 나무들이 살아가는 것을 눈여겨보았으면 한다. 특히 낙우송을 만나면 하늘로 뿌리를 뻗는 모습을 보고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웠으면 한다.

이제 자살은 개인 일만으로 치부하기에는 너무 심각하고 큰 사회문제가 되었다. 국가의 품격과 경쟁력을 높이는데 체력 못지않게 국민정신건강도 중요하다. 그래서 세계보건기구(WHO)는 회원국 정부가 자살예방대책을 세워 추진하기를 권하고 있다.

정부차원에서는 낙우송을 생활주변에 많이 심었으면 한다. 보다 많은 사람이 보다 쉽게 자연의 섭리마저 어겨가면서까지 살려고 몸부림치는 낙우송을 보고, 자살을 포기하고 새로운 삶을 살 수 있는 동기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