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과 행복의 샘 Spring of Hope & Happiness
유기열의 르완다 73] 르완다에서 차(茶)산업의 위치는? 본문
Tea industry in Rwanda
Tea is the first cash & export crop in Rwanda.
Tea export 2013 was 56,244 thousand U$ in revenues and 21,344ton in volume.
This export revenues ranks second only to the amount of the mining,
and is equal to 9.8% of the total export of Rwanda.
The area under tea cultivation is around 15,000ha.
Karongi tea factory. The car on which we rode
르완다에서 차(Tea)는 제1의 수출환금(Cash&Export Crop, 輸出換金)작물이다. 2013년 차 수출액은 56,244천U$로 르완다 총 수출액 573,029천U$의 9.8%를 차지한다. 수출액으로 보면 광산물(Mining)에 이어 2번째다.
차 재배면적은 15천ha(2010년)이며, 2013년의 경우 녹색 차 잎 생산량은 93,048톤이다. 이것을 가공하여 22,185톤(2010년 23,149톤)의 차를 생산하여 이월 량과 함께 21,344톤을 수출하고, 생산량의 1.6%도 안 되는 334톤을 국내에서 소비하였다. 수출가격은 kg당 평균 2.64U$이었다.
차 협동조합은 13개가 있으며 회원은 30,334명이다. 차 재배농가의 70%가 0.25ha의 소농이며, 년 간 차 잎(Green Leaves) 생산량은 ha당 7,000kg이다. kg당 차 잎 가격은 70RF 이하다. 따라서 0.25ha 차 농사로 농가가 1년간 벌 수 있는 돈은 122,500RF(189U$)정도로 소득이 매우 낮다.
![]() |
||
차공장과 들어가는 길 | ||
이런 노력에 힘입어 1995년 차 생산량이 5,414톤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르완다 차 산업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세계시장에서 르완다 차는 품질이 우수함을 인정받아 수요가 증가추세에 있다. 르완다 차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증가하는 이유는 ❶ 년 중 10~20℃의 기온과 년 간 2000mm의 충분한 강우량 ❷ 해발 1,800m이상의 pH4.5~5.5 산성토양에서 재배되어 잎의 색깔선명도, 강도(强度), 향기가 좋고 ❸ 노동력이 풍부하여 품질과 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있기 때문이다.
![]() |
||
발효후 건조 | ||
그러나 2013. 9. 4일 UK-based Borelli Tea Holdings Limited가 Gisovu와 Karongi 공장을 인수 합병하여 Karongi Tea Factory Ltd로 하였다.
합병되어 생산점유율 11.0%로 3위에 오른 Karongi Tea Factory를 지난 2월 25일 방문하여 차밭과 공장가동현장을 둘러보았다.
![]() |
||
차잎 건조(wilting) | ||
공장은 수백 평이 넘어 보였다. 1~2층으로 된 건물 안에서는 10명도 안 되는 인부와 함께 기계가 쉼 없이 돌아갔다. 기계소리를 빼고는 너무 한산하고 조용했다.
차 잎을 따서 공장으로 가져온 뒤부터 가공공정의 90%이상이 자동화 된 탓이었다. 가공과정은 차 잎 품위검사-무게측정-1~14단계를 거치는 음건(wilting)-덖기(rolling)-파쇄-발효(fermentation)-건조-선별-품질검사-포장으로 되어있다.
현재 르완다 마트나 슈퍼에서 차는 50봉지 한 곽에 1500~2,000RF이면 산다. 한국의 홍차와 거의 비슷하나 르완다 사람들은 차에 우유와 설탕을 타서 즐겨 마신다. 이런 차를 르완다 차 또는 아프리카 차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기가 느껴지는 을씨년스러운 밤에 나는 르완다 차에 꿀을 넣어 즐겨 마신다. 하얀 컵에 담긴 적갈색 또는 선홍빛이 보기 좋고, 약간 떫은 듯한 향과 달콤함이 어우러진 느낌이 좋고, 따끈함이 시나브로 온몸을 녹여주는 게 좋아서다.
누군가는 식민지산물이라고 말하지만 차는 르완다의 발달과 자립(Self Reliance)을 위해 꼭 필요한 작물이다.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가공기술을 개선하면 세계인은 보다 좋은 차를 즐길 수 있어 좋고, 르완다인은 돈을 많이 벌어서 좋을 것이다.
차 잎을 따는 남루한 옷차림의 가녀린 소녀가 눈에 선하다. 앞으로 르완다 차 산업이 번성하여 그 소녀가 꼬까옷도 입고, 좋은 음식도 먹고, 대학에서 공부도 하고, 가까운 곳이라도 여행을 다니는 날을 상상해본다.
'르완다-Rwanda in Afric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열의 르완다 75] 르완다 국가문장은 어떻게 생겼을까 (0) | 2014.05.20 |
---|---|
유기열의 르완다74] 르완다 남자는 약간 통통한 여자 '좋아해' (0) | 2014.05.12 |
유기열의 르완다 72] 르완다엔 국립대학교가 하나뿐 (0) | 2014.04.29 |
유기열의 르완다 71] 빨간 우체통이 그립다 (0) | 2014.04.22 |
모두가 무사하기를 빕니다 (0) | 201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