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과 행복의 샘 Spring of Hope & Happiness
유기열의 르완다 99-르완다의 새마을운동, 전국민 '우무간다'(Rwanda New Community Movement, 'UMUGANDA' 본문
유기열의 르완다 99-르완다의 새마을운동, 전국민 '우무간다'(Rwanda New Community Movement, 'UMUGANDA'
futureopener 2014. 11. 3. 17:24There is Umuganda similar with SaeMaulWundong(New Village Movement) in South Korea. "Umuganda" means "Coming together in common purpose to achieve an outcome". It has been the monthly, mandatory day of community service.
It’s the last Saturday of every month, 8am-11am. Everyone 18- to 65-years-old is obliged to do work or help the community in some other way.
At this time, the government also passed a new policy or measures to find the news, and also find solutions by discussing regional issues. During this times, business stops, public transportation is limited. There is no car on the road.
Umuganda hopelly would be combined with Saemaulwundong in Korea. Thaks to both cooperations, Rwanda is expected to be a wealthy and peaceful nation, and to be the best country of reconciliation beyond the pain of genocide.
The closed bus terminal, Musanze on Umuganda day, Here, bus terminal is called taxi park.
이때에는 모토, 버스, 택시 등의 모든 차량운행이 통제되고 시장과 상점, 음식점도 문을 닫는다. 따라서 우무간다가 있는 날에는 이 점을 감안하여 일정을 짜는 게 좋다. 단 하나 예외가 있다. 우무간다의 법을 제정하여 시행할 때 제7일안식일교회(Seventh Day Adventist)는 정부에 토요일예배를 보아야한다는 점을 들어 예외로 해줄 것을 요구하였다. 르완다정부는 교회 측의 건의를 받아들여 교회가 신도에게 신분증을 발행하고, 신분증을 소지한 사람에 한하여 활동을 허용하고 있다. 대신 이 사람들은 일요일에 우무간다를 별도로 해야 한다. 르완다에는 안식일교회신도가 100만 명을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우무간다는 르완다의 전통이었다. 이 전통을 2007. 11. 17일에 기본법 제53/2007호 (Organic Law Number 53/2007)를 제정 공포하여 법제화 하고, 이어 2009. 8. 24일에 총리령 58/03호로(Prime Ministerial Order Number 53/03) 우무간다를 구체화 시켰다. 총리령에는 우무간다의 특성과 권한, 기구와 조직, 공동작업의 역할과 감독위원회, 이들과 다른 기관과의 상호관계 등을 규정하였다. 우무간다는 공동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함께 모이는 행위다(Coming together in common purpose to achieve an outcome). 주민들이 함께 모여 공동 작업을 통해 공동체나 사회를 개선한다. 한국의 60~70년대 새마을운동과 비슷하다.
르완다정부의 자료에 의하면 2011.7~2012.6에는 이러한 우무간다 활동에 연 인원 18.8백만 명이 참여하고(참여율 80.1%), 그 활동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125억RF(약 213억원)으로 나타났다. 르완다정부는 한국에서 새마을운동과 ICT분야의 기술과 전문성을 배우기를 기대한다. 이런 기대에 부응하기위하여 르완다정부와 KT가 르완다를 아프리카의 ICT허브, Smart Rwanda로 만들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새마을운동 분야도 한국은 르완다 공무원이나 적격자를 초청하여 새마을교육훈련을 시키는가 하면 KOICA와 새마을봉사단원들이 르완다 현지에 와서, 열악한 환경에서 새마을시범사업을 펼치고 있다. 아직은 초기단계인데도 새마을운동을 알고 있는 르완다 인들을 만날 수 있을 정도로 파급효과가 크다. 앞으로 우무간다가 새마을운동과 잘 접목되어 발전했으면 한다. 이에 힘입어 르완다가 부강하고 평화로운 나라, 제노사이드의 아픔을 넘어 화해의 모범국가가 될 것을 믿어본다. |
'르완다-Rwanda in Afric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열의 르완다 101] 넬슨 만델라가 죽었다고? (Nelson Mandela is dead? ) (0) | 2014.11.17 |
---|---|
유기열의 르완다 100] 다섯 친구(Five friends of mine) (0) | 2014.11.11 |
유기열의 르완다 98] 하루 밤의 버스숙박여행(Travel all night by bus) (0) | 2014.10.28 |
유기열의 르완다 97] 사랑이란 꽃을 아시나요?(Dㅇ you know love flower?) (0) | 2014.10.21 |
유기열의 르완다 96] 왜 물개들은 바위를 좋아할까?(Why do seals like rock? ) (0) | 2014.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