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껀터 (66)
희망과 행복의 샘 Spring of Hope & Happiness

유과(乳果)를 자르면 젖 같은 즙이 나온다. 열매를 주무른 뒤 잘라서 열매살을 긁으면 보들보들한 떡을 얇고 잘게 썰어 우유와 섞어 으깨 놓은 듯하다. 이것을 스푼으로 떠먹으면 먹는 재미와 함께 맛도 즐길 수 있다. 잎은 앞뒤 색이 전혀 달라, 앞(위)면은 초록이고 뒤(아래)면은 갈황색이다. 씨는 열매와 달리 쓰고, 씹어 먹고 나니 입안이 얼얼하고 아렸다. 유과는 사포타과(Sapotaceae) 식물로 학명은 Chrysophyllum cainito, 영명은 milk fruit, breast milk fruit, star apple, purple star apple, golden leaf tree, cainito, caimito, abiaba, estrella, aguay다. 베트남어로는 vú sữa(브스아)..

북채나무는 열대의 넓은 잎 큰키나무(熱帶闊葉喬木)로 반 낙엽성이다. 잎은 홀수2~3회깃꼴겹잎이며 길이는 20~50cm다. 작은 잎은 타원형이다. 꽃은 나비모양꽃부리(蝶形花冠)로 된 갖춘 양성화며 크림색이나 흰색이다. 열매는 길이 30~50cm의 양끝이 좁은 세모막대모양이다. 씨는 삼면체로 능각가장자리에 날개가 달렸다. 북채나무는 모링가과식물로 학명은 Moringa oleifera, 영명은 moringa, drumstick tree, horseradish tree, ben oil tree( benzolive tree)다. 베트남어이름은 Chùm ngây다. 공식적 한글명은 없으나 모링가로 알려져 있다. ▴국명(한글이름): 모링가 보다 북채나무라고 했으면 한다. 그 이유는 이렇다. .열매가 북채처럼 길고, ..

베트남도 한국 설과 같은 뗏(Tết)이 있다. 뗏은 음력1월1일이며, 베트남 최대 명절로 일주일정도 쉰다. 이때 베트남 거리는 물론 집 안까지 온통 노란살구꽃 세상이다. 생화를 구하지 못하면 조화(造花)라도 거실에 장식해 놓는다. 베트남인은 노란살구꽃이 새 해의 액운을 막아주고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러한 믿음은 이 꽃과 관련된 전설의 영향이 크다. . ▴노란살구꽃에 얽힌 전설 옛날 어느 시골마을에 Mai라는 사냥꾼의 딸이 살았다. 마을에 괴물이 나타나자 사냥꾼 아버지와 딸이 괴물을 죽이고 마을 사람을 지켜주자 부녀의 용맹이 주위에 알려졌다. 그런 뒤 뱀 모양의 괴물이 다른 마을에 마나타났고, 그 마을 사람들이 소녀 집에 찾아와 그 괴물을 물리쳐주기를 간청했다. Mai 어머니는 남편과 함께..

잭푸르트는 암수한그루지만 꽃은 단성화로 암꽃과 수꽃이 다르다. 낱-꽃 하나하나는 너무 작아 눈으로는 보기 어렵고, 꽃 같지도 않다. 때문에 암꽃과 수꽃의 구별이 어렵다. 반면에 인공수분과 효율적 과수원관리로 생산성을 높이려면 암꽃과 수꽃의 구별이 필요하다. 필자가 조사하고 관찰한 결과, 그리고 현지인들과의 논의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한 잭푸르트 암·수꽃의 구별방법은 아래와 같다. 열대지역 현지인들은 관습과 경험에 의거 암꽃과 수꽃을 가리고 있었다. 잭푸르트 꽃차례는 육수꽃차례(肉穗花序, Spadix)로 보인다. 그러나 일부 자료에는 머리꽃차례(두상화서)로 보고 있다. 잭푸르트 꽃가루받이는 곤충이나 바람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꽃이 작고 보잘 것 없지만 곤충이 모여드는 이유는 향기 때문이다. 꽃가루받이가 끝나면..

별과일(Star fruit)은 맛보다 독특하고 개성 있는 모양으로 승부한다. 사람, 특히 여자는 심성(心性)보다 외모가 더 중요시 되는 세상임을 별과일은 어떻게 알았을까? 별과일은 5개의 능각이 뚜렷하고 열매를 가로로 자르면 영락없는 별 모양이다. 샐러드나 요리(장식)에 모양을 내는 데 요긴하게 사용된다. 맛은 시큼하여 별로여도 인기 있는 이유다. 별과일은 괭이밥과(Oxalidaceae)식물로 학명은 Averrhoa carambola, 영명은 star-fruit, carambola, five-corner 등이 있다. 베트남어로는 Khe 또는 Khe Ta라고 한다. .이름: 한글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카람볼라 엘린이라고 되어있다. 그러나 내가 카람볼라 보다 별과일(스타푸르트)이라고 한 이유는 이렇다. -열..

탕! 탁~ 딱~ 사무실에 갖다 놓은 공작실거리나무 익은 열매가 시간이 지나면서 2조각으로 갈라질 때 난 소리다. 열매껍질이 터지는 힘이 얼마나 센지 갈라진 열매껍질은 공중으로 솟아 날고, 씨는 2m이상 멀리 총알처럼 튕겨 나갔다. 마치 총을 쏘는 것 같았다. 공작실거리나무 꽃은 찬란하다. 그러나 암술은 잘 보이지 않는다. 암·수술 모두 빨갛고 모양이 비슷하여 암·수술 구분이 잘 안 되고, 암술이 긴 수술보다 약간 짧고 꽃가루받이가 끝나면 암술대가 바로 시들기 때문이다. 공작실거리나무는 콩과(Fabaceae) 식물로 학명은 Caesalpinia pulcherrima, 동의어로는 Caesalpinia lutea, Poinciana pulcherrima가 있다. 영명은 peacock flower, red 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