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과 행복의 샘 Spring of Hope & Happiness
유기열의 씨알여행122 동의나물-‘물금잔화’로 개명했으면, 열매송이 웃는 해님 보는듯 본문
동의나물, 이름만 들어서는 이 식물의 모습이나 특성을 상상하기가 쉽지 않다. 동의나물이라는 이름이 좀 어색하다는 뜻이다.
독의나물은 독이 있는 나물이 한두 가지가 아니고 살짝 데쳐서 찬물에 몇 번 우려내면 먹을 수 있으며 예전에는 일반 민가에서 치질 약으로 복용했다는 것을 보면 맞지 않는다.
그럼 서양인은 어떻게 부를까? 서양에서는 Marsh marigold( 습지의 금잔화) 또는 Yellow marsh marigold라고 부른다.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잘 살린 이름이다. 학명인 Caltha palustris L. var. membranacea 와도 이치적으로 가깝다. 속명 Caltha는 ‘잔, Cup'을 뜻하는 라틴어의 Calathos에서 유래되었고, 종(소)명인 palustris는 ’늪지나 그 주변에서 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왜냐면 외국에서 들어온 제비꽃에 이미 종지나물이라는 이름을 빼앗겼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식물이름을 바꿀 기회가 되면 이 분야의 전문가들이 ‘물금잔화’로 바꾸는 것을 한번만이라도 검토해주기를 바라는 마음만 간절할 뿐이다. 바람직하고 좋은 식물이름은 이름만 들어도 그 식물의 형태나 특징, 전해오는 이야기를 연상할 수 있으며 부르기 쉬운 아름다운 우리말로 지어진 이름이다. 예를 들어 동자꽃은 그 꽃에 얽힌 슬픈 전설을 들으면서 꽃이 아래를 향해 누군가를 기다리는 모습을 보면 ‘아 그렇구나! 정말 그러네.’라고 다들 수긍한다. 꽃은 노란색이다. 꽃잎이 없고 5~7개(5~6개라고 많은 자료에 되어 있으나 실제로 7개를 직접 확인함)의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인다. 수술은 많다. 암술 역시 여러 개이며 옅은 연두색이지만 암술머리는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말은 산속의 보물이란다.
우리가 하나의 열매로 보는 것은 사실은 열매송이다. 열매송이에는 4~20개(자료에는 4~16개로 되어 있으며 20개는 직접 확인함)의 열매(蓇葖)가 원을 이루어 달려있다. 열매껍질이 벌어지기 전의 열매송이는 여러 개의 열매가 어깨를 맞대고 1~2열로 빙 돌아가며 누워있는 것 같다. 그래서 어두운 곳에서 보면 발이 여러 개인 불가사리를 뒤집어놓은 것 같기도 하고, 햇살이 비치는 아침에 보면 해님이 웃는 냥 보인다. 열매송이의 크기는 껍질이 벌어지기 전에는 높이 8~15㎜, 전체 지름6~15㎜이고, 껍질이 벌어지면 높이가 줄어 7~10㎜, 전체지름은 커져 13~22㎜이다. 열매껍질이 벌어지면 열매송이는 마른 꽃 같다.
열매는 익으면 안쪽 이음선이 벌어져 씨를 내보낸다. 열매에는 수십 개의 씨가 들어 있다. 그러니까 꽃 한 송이가 만든 전체 열매에는 수십 ~수백 개의 씨가 들어 있는 셈이다. 씨는 아래 끝이 좁은 둥근꼴 타원형이나 거꾸로 된 달걀형이다. 색은 초기에는 흰색이나 녹색이고 익으면 적갈색, 흑갈색, 갈색이 된다. 크기는 길이 1.8~2.2㎜, 지름 1.0~1.5㎜다. 광택은 싱싱할 때는 있으나 마르면 없어지고 겉은 매끄럽다. 물에 뜬다. 이름에 나물이 들어 있어 먹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Protoanemonin이라는 독성물질이 있어 먹으면 복통, 구토,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나타나니 먹지 않는 게 좋다. 굳이 먹어보려면 봄철에 어린 순을 더운 물에 살짝 데쳐서 맑은 물에 독성을 여러 번 우려낸 후 먹을 수는 있다. 이유는 건조나 삶거나 하는 제조과정에서 Protoanemonin 성분이 빠져나와 공기나 물에 접촉하면 dimerization(이합체화)과정을 거쳐 Anemonin으로 변하고, 다시 이것은 hydrolyzation(가수분해)과정을 거쳐 독성이 없는 카복실산(carboxylic acid)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독성잔류 량이 많을 수 있으므로 많이 먹는 것은 나쁘다. 물금잔화! 동의나물 보다는 아름답고 풀꽃의 특성을 잘 살린 이름이다. 아무리 불러도 질리지 않고 실제로 꽃을 보는 느낌이 든다. 언제쯤 이 물금잔화란 이름이 공식적으로 인정될까? 그렇지 않아도 괜찮다. 단 몇 사람이라도 앞으로 동의나물 대신에 물금잔화라고 불러주면 너는 그런 사람에게 물금잔화가 되어줄 테니까. ----------------------------------------------------------------------- [유기열 박사 프로필] 농학박사, 대학강사 국립수목원 및 숲연구소 해설가 GLG자문관 한국국제협력단 전문가 시인 겸 데일리전북(http://www.dailyjeonbuk.com)씨알여행 연재작가 손전화 010-3682-2593 블로그 http://blog.daum.net/yukiyull | |||||||||||||||||||||||||||||||||
|
'스크랩(씨알여행 글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열의 씨알여행 124 뚜껑덩굴-열려라 뚜껑! 가끔 마술이 통한다 (0) | 2011.06.22 |
---|---|
유기열의 씨알여행 123- 미선나무.열매는 긴 둥근 부채, 씨는 긴 반달 닮아 (0) | 2011.06.07 |
8월의 괴불나무 꽃 (0) | 2011.05.10 |
[씨알여행 121] 괴불나무..웃음주는 이름, 8월에도 꽃피고 열매 익어 (0) | 2011.05.10 |
씨알여행 120 -구와말..씨는 물 속에서 10일 만에 싹트다 (0) | 201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