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완다-Rwanda in Africa

[유기열의 르완다 24] 안경점을 찾아라!

futureopener 2013. 5. 28. 03:37
반응형
SMALL

 

구 나쿠마트에 있는 NU Vision optical(안경점)

 

There are few those who wear eyeglasses in Rwanda. Eyeglasses shops are rare, too.

 

르완다에서는 안경 쓴 사람 보기가 어렵다. 안경점도 거의 없다. 르완다 북도(Nothern Province)의 도청소재인 무산제에서도 안경점이 한 곳 있다는 말을 들었으나 아직 찾지 못했다.

르완다에 온지 만 5개월이 넘었다. 안경 줄이 낡아 바꿀까 하여 안경점을 찾았으나 살고 있는 곳은 물론 르완다의 제2도시인 무산제시에 가서 물어물어 찾았으나 찾지 못했다. 하는 수 없이 수도인 키갈리에 갈 때 바꾸어야 할 것 같다. 아파트 단지 상가에도 몇 개씩 안경점이 있는 우리나라와 대조적이다.

르완다 사람들은 눈이 좋은 것 같다. 안경 쓴 사람이 거의 없다. 안경 쓴 사람을 보려면 발품을 팔아 일부러 찾아다녀야 한다. 수강생 139명 중 안경 쓴 학생이 한명도 없다. 근무지인 국립농대 2,500여명의 학생과 교직원들 중에 안경 쓴 사람은 손으로 꼽을 정도다.

거리나 시내에 나가도 마찬가지다. 안경을 쓴 사람 만나기가 어렵다. 한 집에도 몇 명이 안경을 쓰는 우리나라와는 전혀 딴판이다.

여기 사람들은 안경을 쓰지 않고도 멀리, 가까이를 잘 보는 것은 물론 어두운 데서도 깨알 같은 작은 글씨를 잘 읽고 글씨도 잘 쓴다.

안 경 쓴 사람을 볼 수 없다
어쩌다 수도 키갈리에서 길 가다 안경 쓴 사람을 만나면 선글라스를 끼고 있다. 우습게도 여기서는 안경 쓴 사람을 부자로 본다. 안경이 부의 상징이라고 한다. 르완다 폴 카가메 대통령은 안경을 썼다.

우리나라도 60, 70년대에 안경 쓴 사람이 많지 않았다. 아무 것도 모르고 나 역시 당시에는 안경 쓴 사람이 부러웠다. 어떻게 하면 안경을 쓸 수 있을까 고민하다, 수수깡을 가지고 안경을 만들어 쓴 일이 아련히 떠오르자 혼자 웃었다.

요즘은 안경을 쓰지 않을 수 있다면 제발 그러고 싶다. 더운 날에 땀이 나도 안 좋고, 오토바이를 탈 때 헬멧을 쓸 때도 불편하다. 돌아다니면서 사진을 찍을 때 안경을 벗어야 하는 일도 여간 불편하지 않다. 안경을 쓰면 거추장스럽고 힘든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힘들게 찾은 안 경 쓴 학생

그러나 1268년 이태리에서 안경이 처음 생긴 이래 안경은 인류의 소원하나를 풀어준 셈이다. 원하는 사람에게 나쁜 시력을 보정해서 잘 볼 수 있게 해주었다.

안경의 순기능은 그뿐 아니다. 먼지나 작은 벌레 등이 눈에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 태양이 작열하는 지역에서는 자외선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해주고, 3D 안경은 사물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요즘에는 멋을 창조하는 용도로도 쓰여 안경도 유행을 탄다.

르완다에서는 연예인 등 일부특수층사회를 제외하고는 아직 패션안경은 시기상조다. 영화나 소설 속의 이야기다. 하지만 변화의 속도로 보아서 수도 키갈리에서는 멀지 않아 장식용이나 멋을 내기 위한 안경을 볼 수 있을 것 같다.

소수지만 아가씨들이 옷차림이나 몸매에 신경을 쓰고 멋을 부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TV, 인터넷, DVD, 영화, 휴대폰 등의 확산이 젊은이들을 현재 상태로 가만히 놓아두지 않고 있다.


 

                                                                                        

안경은 어디까지 잘 보기 위한 보조 수단이다. 아무리 안경이 좋아도 눈을 감으면 볼 수 없다. 눈이 나빠도, 눈을 뜨면 안경을 쓰지 않고도 볼 수 있다. 잘 보기 위하여 안경을 쓰는 거라면 안경을 쓰고 눈을 감아서는 안 된다. 그리고 눈이 좋을 때 눈을 잘 관리하고 보호해야 된다.

나의 안경점 찾기는 당분간 계속 될 것 같다. 지금은 이렇게 안경점 찾기가 힘들지만 앞으로 안경수요가 늘면 안경점 역시 가까운 곳에서도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유기열의 다른기사 보기

 

반응형
LIST